아름다운 인생/일상속에서

아주 귀한 소나무 한입버섯 채취

봉화군 산타마을 2019. 4. 29. 18:23

 

 

 

소나무 한입 버섯은 숲해설 프로그램 과제 관련 소나무

숲 탐방중 죽은 소나무에서 우연히 발견한 것입니다.

 

천식과 기관지 질환을 위한 항염 작용은 물론,

항순환기장애, 항종양, 항진균 작용 외에도 여러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도 좋은 버섯이라

합니다.

 

소나무의 생목이나 고사목 위에 군생하는 일년생

목재 부후성 버섯으로 성질은 달고 쓰며 따뜻하다.

그 색깔은 처음에 흰색에서 차차 담황갈색이 되고

마치 밤톨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전통의학>

한입버섯을 빨아 먹어보면 자실체 전체가 아주

향기로운 맛이 나지만 곧 이어 쓴맛이 나기 시작한다.

그래서 아기 엄마가 유아의 젖을 뗄 때 구합물(口合物)로

사용하여 아기에게 먹이기도 하였다.

 

인후염에 한입버섯 5-8조각을 물에 담가 불렸다가

씹지 않고 입에 물고 있는다. 중국 전통의학에서

내출혈이 있을 때 지혈제로 썼고,치질, 종기(부스럼),

절종(癤腫), 치통 치료에도 사용하였다. 또 한입버섯

달임물은 천식과 기관지 질환에 항염제로 사용하였다.

 

<현대의학>

1994년 Kitamura등은 이 버섯 자실체에서 얻은

1,3 beta D 글루칸 성분이 sarcoma 180 종양

세포에 대한 항종양 작용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003년 S. H Jin 등은 이 버섯으로부터 류코트리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에서 백혈구가 생성해 내는 물질)

생산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계속하여 이 물질이

천식 환자들의 염증 완화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또 1992년 Narisawa등은 이 버섯의 추출물인

cryptoporic acid E 성분은 sesquiterpenoid의

하나로 쥐 실험에서 대장암 발생을 억제하는 성분임을

발견하였다.

 

이어서 1998년 Hashimoto와 Asakawa는

sesquiterpenoid cryptoporic acid A-G성분은

강한 근본 제거 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

작용을 통하여 종양 발생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2004년 중국인 Xiao-Yan Zhao등은 한입버섯의

다당류가 기니아 돼지 실험에서 폐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기도협착(氣道狹窄)을 막아주고,

호산(好酸) 백혈구 또는 호산성 물질 eosinophil을

방출하며, 주화성(走化性chemotaxis)이 관찰되었다.

앞으로 천식과 알레르기 질환 치료를 위한 신종

항염성분임이 밝혀지고 있다.

 

2004년 Guo 등은 꽃가루와 관련된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위장염, 안과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특허를 얻는 바 있다.